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양도소득세 신고방법 신고기한 완벽정리

by bomssi 2025. 5. 29.

    [ 목차 ]

2024년에 부동산, 주식, 파생상품 등을 양도하셨다면, 양도소득세 확정신고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특히 예정신고를 하지 않으셨거나, 두 건 이상 자산을 양도하신 경우에는 2025년 5월까지 반드시 확정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양도소득세의 신고 대상, 신고 방법, 신고 기한까지 상세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양도소득세 확정신고 대상자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해당하시는 분들은 반드시 양도소득세 확정신고를 하셔야 합니다.

 

 

 

1. 2024년에 부동산, 주식 등을 양도하였으나 예정신고를 하지 않으신 경우

 

2. 같은 해에 두 건 이상 자산을 양도했지만, 자산별 소득을 합산하여 신고하지 않으신 경우

 

3. 국외주식 또는 파생상품 거래로 소득이 발생한 경우

 

 

국세청 안내문을 받지 않으셨더라도 국외자산 거래로 소득이 발생하였다면, 반드시 본인이 자진하여 신고하셔야 합니다.

 

 

성실한 신고는 곧 절세의 첫걸음이므로, 누락 없이 확인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양도소득세 모의계산 바로가기

 

 

양도소득세 신고 및 납부 방법

양도소득세는 다양한 방법으로 신고하고 납부하실 수 있습니다. 국세청에서는 납세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여러 신고, 납부 경로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1. 신고 방법

 

- 홈택스(PC) 또는 손택스(모바일)를 통한 전자신고

 

양도소득세 확정신고 바로가기

 

- 세무서에 우편신고 (등기우편으로 발송)

 

- 세무서 방문신고

 

 

2. 납부 방법

 

- 홈택스 / 손택스 전자납부

 

- 금융결제원(인터넷지로 등) 이용

 

- 은행, 우체국 등 금융기관 직접 납부

 

- 세무서 방문 납부

 

양도소득세는 자진납부 방식이므로, 반드시 신고와 함께 납부까지 기한 내에 완료하셔야 합니다.

 

 

양도소득세 신고기한

양도소득세는 자산의 종류 및 거래 시점에 따라 예정신고확정신고로 구분되며, 각각 정해진 신고기한을 지켜야 합니다.

 

 

 

1. 예정신고 기한

 

- 부동산, 기타자산, 신탁수익권 양도: 양도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2개월 이내

 

- 부담부증여: 증여일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

 

- 주식 양도: 해당 반기 말일부터 2개월 이내

 

- 파생상품: 예정신고 의무 없음

 

 

2. 확정신고 기한

 

- 확정신고는 다음 해인 2025년 5월 1일 ~ 5월 31일 사이에 반드시 완료하셔야 합니다.

 

-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예정신고를 하셨더라도 확정신고를 추가로 하셔야 합니다.

 

  • 두 건 이상 자산을 양도하고도 소득을 합산하여 신고하지 않은 경우
  • 기본공제(연 250만 원)를 적용할 경우 세액이 달라지는 경우

 

 

 

기한 내 신고하지 않으면 무신고 가산세 및 납부지연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니, 반드시 기간을 확인하시고 성실히 신고하시기 바랍니다.

 

 

홈택스를 활용한 편리한 확정신고 방법

국세청 홈택스에서는 양도소득세 확정신고를 보다 쉽고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1. 확정신고 도움자료 모음

 

- 신고서 작성 예시, 자주 발생하는 오류 등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홈택스 > 세금신고 > 양도소득세 > 신고도움자료 조회 > 확정신고 도움자료 모음

 

 

2. 미리채움 서비스

 

- 예정신고 내역을 기반으로 자동 입력되므로, 납세자의 신고 부담을 줄여줍니다.

 

 

3. 편리한 증빙서류 제출 방법

 

-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어 간편하게 제출하거나, 납세자별로 부여된 팩스번호로 FAX 제출도 가능합니다.

 

 

또한, 홈택스에서는 양도소득세 자동계산 모의시스템도 제공하고 있으니, 신고 전 예상 세액을 미리 계산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양도소득세는 소득이 발생한 시점과 자산의 종류에 따라 신고기한과 방식이 다르므로, 반드시 본인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셔야 합니다.

 

 

 

홈택스의 다양한 기능을 적극 활용하여 정확하고 성실하게 신고하시고, 불이익 없이 절세 효과도 누려보시기 바랍니다.